Old Town
올드 타운
2023-2024
Cheonho-dong was a town of monotony. The hum of an old refrigerator and the murmur of the television filled my small, silent room. Every night I sketched cartoons in my notebook, waiting for my parents to return from work. Outside, the streets were filled with drunken adults and restless boys short on allowance. In the alleys, I always quickened my pace. On days when I lost my keys in the sandbox at the playground, I would fumble for the spare hidden beneath a flowerpot before stepping into the dim half-basement. Gangdong-gu never felt like a home that embraced me.
And yet, Gangdong-gu holds the weight of six millennia, its history etched in the prehistoric remains of Amsa-dong. The great flood of 1925 unearthed shards of comb-pattern pottery, stone tools, and traces of ancient dwellings, revealing the region’s archaeological significance. But to me, these glittering relics, the grandeur of history, and the romanticized past mattered little. My world was shaped instead by faded signboards, weary faces, hurried footsteps, and gaudy decorations.
Like bones washed up after the rain, Old Town brings to the surface the layered fragments of memory embedded in the same land. The collision between contemporary Gangdong-gu and its archival past reflects the tension between personal sense of place and historical illusion. Even the trees here seemed indifferent, their presence devoid of grandeur. And yet, I found myself searching—wandering the familiar streets, tracing the unseen shadows of history buried beneath the soil.
나는 천호동이 지루했다. 낡은 냉장고와 텔레비전 소리는 작은 방의 적막을 메꾸었고, 밤마다 종합장에 만화를 그리며 부모님의 퇴근을 기다렸다. 거리에는 술 취한 어른이나 용돈이 부족한 오빠들이 많았고, 골목에서 나는 언제나 걸음을 재촉했다. 놀이터 모래사장에서 열쇠를 잃어버린 날이면 화분 아래 숨겨둔 보조 열쇠를 더듬어 찾은 다음 어두운 반지하로 들어서야 했다. 강동구는 나를 환영하지 않는 고향이었다.
한편 강동구는 암사동 선사유적지를 통해 6천 년의 시간을 증명하는 역사적 고장이다. 일제강점기 을축년 대홍수 당시 암사동에서 빗살무늬토기와 간석기, 움집터 등의 고대 유물이 흔적을 드러내면서 이곳의 고고학적 연구 가치가 밝혀졌다. 그러나 역사가 그리는 환상적인 이미지, 반짝이는 유물과 문화적 의미 같은 것은 나에게 중요한 문제가 아니었다. 다만 나는 빛바랜 간판과 무료한 얼굴들, 어수선한 걸음걸이와 촌스러운 장식들을 바라보며 유년을 보냈다.
올드 타운 연작은 빗물에 쓸려 나온 뼛조각처럼, 동일한 지역에 축적된 무수한 기억의 층위를 뭍 위로 드러낸다. 오늘날 강동구의 풍경과 과거 아카이브가 대조되며 나타나는 충돌은 곧 개인의 장소성과 역사적 허상 사이의 부딪침이다. 나무들마저 심심한 얼굴을 한 이 고장의 풍요로운 과거를 상상하기 어려웠지만, 흙 속에 감추어진 영광의 그림자를 찾기 위해 나는 자꾸만 땅 위를 두리번거렸다.
Daedeok Culture Center, Daegu, Jun 27-Jul 19, 2024
Daegu Artway Space Ⅰ, Daegu, Dec 27-Jan 8, 2025